동네에 나에 대한 말이 퍼지기 시작한 건,
그 사람과 헤어지겠다고 말한 바로 그날부터였습니다.의뢰인 A씨의 사전 인터뷰 中
A씨는 남편과 사별 후 어렵게 일상을 이어가던 중, 상대방 B씨를 만나 교제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관계는 오래가지 못했고, A씨는 조용하게 이별을 고하고 싶었습니다.
문제는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한 B씨의 행동이 ‘관계의 끝’이 아니라 ‘악몽의 시작’이 되었다는 점이었습니다.
"내가 사실상 남편이다"…
동네 전체로 번져버린 허위사실
헤어짐 이후, B씨는 A씨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는 사실상 부부다”, “남편 죽고 바로 나랑 만났다”, “모텔에서 성관계도 수없이 했다”와 같은 말들을 퍼뜨리기 시작했습니다.
그저 소문이 아니라,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명예훼손이었습니다.
작은 지역 사회에서 이런 소문이 퍼지는 속도는 생각보다 훨씬 빠릅니다.
A씨는 하루하루가 지옥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가게에 오는 손님도 줄고,
동네 시선 때문에 밖에 나가기도 두려웠어요.의뢰인 A씨의 사전 인터뷰 中
심지어 B씨는 가게에 수시로 들락거리며 시비를 걸고, 문을 두드리며 협박까지 이어갔습니다.
업무 중에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자, A씨는 정신적·경제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을 체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족에게까지 허위사실을 유포하겠다며 협박… 일상 전체가 무너졌다
문제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가족에게도 허위사실을 전파하겠다며 협박 → 협박죄에 해당합니다.
A씨 주거지까지 찾아와 현관문을 강제로 열려고 시도 → 주거침입에 해당합니다.
거부 의사를 밝혀도 영업장에 지속 방문하여 영업방해 → 영업방해에 해당합니다
이는 단순한 감정싸움이나 연인 간 다툼의 영역이 아니었습니다.
명예훼손, 협박, 주거침입… 복합적인 불법행위가 모두 뒤얽힌 심각한 상황
A씨는 더는 혼자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법적 조치를 위해 이현을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형사처벌 & 명예훼손 손해배상,
두 단계로 끝낸다
이 사건을 맡은 이현은 단순히 손해배상청구만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핵심 전략은 “형사 처벌 확정 → 이를 근거로 한 민사 손해배상 인용”
‘2단 구조’였습니다.
✔ 1단계: 명예훼손으로 고소 → 구약식처분 확정
경찰 조사를 거쳐 B씨에게 구약식처분(벌금형)이 내려졌고, 이는 명예훼손 사실을 법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였습니다.
✔ 2단계: 형사결정문을 토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이현은 민사소송에서 다음과 같이 다각도에서 피해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지속적인 영업방해로 A씨가 가게 문을 닫아야 했던 점
가족에게 허위사실을 퍼뜨리겠다는 협박으로 정신적 피해가 극심했던 점
주거지까지 찾아와 의사에 반해 침입을 시도한 점
그리고 판결의 핵심은 여기였습니다.
“감정적 주장에 기대지 않고, 모든 피해를 사실관계 중심으로 정교하게 재구성했다.”
이 접근 방식은 위자료 인용 가능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800만 원 명예훼손 손해배상
+ 소송비용까지 모두 회수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익산시법원은 이현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여
B씨가 A씨에게 800만 원의 손해배상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점.
A씨는 판결금뿐만 아니라 소송비용까지 모두 회수했습니다.
금액의 크기를 떠나, 자신을 짓밟았던 사람에게
법이 분명한 책임을 묻고 명예를 회복할 수 있었다는 것이 무엇보다 컸습니다.
같은 피해를 겪고 계신가요?
허위사실 유포는 ‘말’이 아니라 범죄입니다.
그리고 관계의 감정이 끝났다고 해서, 법적 책임까지 사라지지 않습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 즉시 법률 조력을 받으셔야 합니다.
동네나 지인들 사이에서 허위사실이 확산되고 있다
영업방해·협박·주거침입까지 이어지고 있다
상대방이 ‘증거 없으면 못 할 걸?’이라는 식으로 무시한다
정신적 고통이 커 일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온라인 정보만 참고하며 망설이다 보면 증거는 더 희미해지고, 피해는 더 커집니다.
이현은 형사 + 민사 동시 대응 전략으로
최대한 빠르고 강력하게 피해자의 일상을 회복시키는 데 집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