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 횡령 vs 단순횡령 차이점 – 형량이 2배 차이나는 이유

업무상 횡령죄는 단순횡령보다 형량이 정확히 2배 무겁습니다. 형법상 ‘업무’의 의미와 신임관계 배신이 왜 가중처벌 사유가 되는지, 실제 판례와 함께 변호사가 쉽게 설명합니다.
Nov 03, 2025
업무상 횡령 vs 단순횡령 차이점 – 형량이 2배 차이나는 이유

💡 왜 ‘업무상 횡령’은 더 무겁게 처벌될까?

회사 자금을 잠시 빌려 썼다는 이유로 형사처벌을 받게 된 사람들 중 상당수가 “나는 횡령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단순횡령’인지 ‘업무상횡령’인지에 따라 처벌 수위는 최대 2배까지 달라집니다.

이 구분 하나로 집행유예가 실형으로 바뀌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 업무상 배임·횡령 차이 모르면 불리해집니다

👉 업무상횡령죄 어디까지가 처벌 대상일까요?


⚖️ 1️⃣ 법정형부터 다르다

구분

관련 법조

형량

단순횡령죄

형법 제355조 제1항

5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 벌금

업무상횡령죄

형법 제356조

10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

📌 즉, 형량이 정확히 2배.

게다가 횡령액이 5억 원 이상이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이 적용되어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습니다.

(50억 원 이상: 무기 또는 5년 이상 징역)


👔 2️⃣ 핵심 차이 – ‘누가’와 ‘어떤 관계에서’

✅ 단순횡령: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라면 누구나 범할 수 있는 범죄입니다.

✅ 업무상횡령:

‘업무상의 임무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만이 가능합니다. 즉, 단순한 보관자보다 ‘업무 관계’라는 신분이 추가로 요구됩니다. 학계에서는 이를 부진정신분범이라 부릅니다.

📖 대법원(1982.1.12. 선고 80도1970)도 이렇게 판시했습니다.

“법령이나 계약뿐 아니라 관례나 사실상의 지위에서도 계속 반복적으로 행하는 사무라면 ‘업무’로 본다.”

예를 들어,

형식상 대표이사에서 사임했더라도 여전히 회사 자금을 관리·운용했다면, 그 사람은 ‘업무상 재물 보관자’로 보아 업무상횡령죄가 적용됩니다.


💥 3️⃣ 형량이 2배인 이유 – 신뢰를 배신했기 때문

신임관계의 배신

업무상횡령은 단순히 돈을 훔친 게 아니라, 직무상 신뢰를 깨뜨린 행위입니다. 회사, 거래처, 고객 등 다수인이 믿고 맡긴 재산을 배신한 것이므로 피해 범위와 사회적 파장이 훨씬 큽니다.

가중된 책임

업무상횡령은 ‘재물의 보관자’이자 동시에 ‘업무자’인 이중 신분을 전제로 합니다. 따라서 행위자의 불법성과 책임이 단순횡령보다 높다고 평가됩니다.

사회적 신뢰 보호 필요성

기업 회계, 고객 예치금, 공금 등은 모두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움직입니다. 이 신뢰가 무너지면 거래 질서가 붕괴되므로, 법은 더욱 엄격히 처벌합니다.


⚙️ 4️⃣ 실무에서 자주 다투는 쟁점

  1. ‘업무’의 인정 범위

    • 관습상·사실상 맡은 일이라도 반복성이 있다면 ‘업무’로 인정됩니다.

    • (예: 사임 후에도 사실상 회사 자금을 계속 관리한 전 대표이사)

  2. 공범 처리

    • 업무상 지위가 없는 자가 가담했다면,

      업무상횡령죄가 아니라 단순횡령죄 공범으로 처벌됩니다. (형법 제33조)

  3. 불법영득의사 증명 책임

    • 검사가 ‘횡령의 의사’를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입증해야 합니다.

      (대법원 2013도7360)


🧭 결론 – ‘직무상 돈을 다루는 자리’라면 더 신중해야

업무상횡령죄는 단순히 돈을 관리했다는 이유만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업무상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직무에서 타인의 재산을 임의로 사용하거나 보관 목적을 위배했다면,

그 순간 형량은 단순횡령의 두 배로 뛸 수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단순횡령: 보관자 누구나 가능

  • 업무상횡령: 직무상 재물보관자만 가능

  • 형량: 업무상횡령이 2배(5년 → 10년)

  • 이유: 신임관계 배신, 사회적 신뢰 침해 때문


👉 비슷한 사건으로 조사를 받고 있다면?

업무상인지 단순인지의 구분이 곧 양형의 핵심 쟁점입니다.

사건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세워야 불필요한 처벌을 피할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형사전문변호사 상담